미국 집값 11년래 최대폭 하락…중간가 38만8800달러

미국의 기존 주택 중간 가격이 지난 11년래 가장 큰 폭으로 전락했다 미국 부동산중개인협회(NAR)는 지난 4월 미국의 기존주택 중간가격이 전년동기 대비 1.7%내린 38만8800달러를 기록했다고 18일 발표했다. 이로써 미국의 기존주택 중간가격은 3월에 이어 두달 연속 지난 2012년 1월 이후 하락폭 기준 최대치를 다시 썼다. 중간가 기준 역대 최고가를 기록했던 지난해 6월과 비교하면 하락폭은 6%에 달한다. 단 직전월 대비 가격은 두 달 연속 소폭 반등했다. 가격이 내리면서 4월 기존 주택 거래건수 역시 직전월 대비 3.4%, 전년동기 대비 23.2% 감소한 428만건을 나타내며 월스트릿저널(WSJ)등 전문가 예상치와 일치했다. 미국의 기존주택 매매건수는 지난 14개월 동안 14차례나 감소하며 주택 시장이 침체에서 벗어나지 못하고 있음을 시사했다. 지역별로는 북동부가 직전월 및 전년동기 대비 각각 1.9%와 23.9% 감소한 51만채, 중간가 42만2700달러(전년동기 대비 2.8% 상승)를 기록했고 중서부는 직전월 대비 1.9%, 전년동기 대비 21.5%줄어든 102만채, 중간가 28만 7300달러(전년동기 대비 1.8%상승), 남부도 직전월 대비 3.4%, 전년동기 대비 20.2%감소한 198만채, 중간가 35만7900달러(전년동기 대비 0.6%감소)로 집계됐다. 서부(77만채)또한 거래량이 4월 대비 6.1%, 2022년 4월 대비 31.3%줄었고 가격(57만8200달러) 역시 1년 전에 비해 8% 내렸다. 한편 모기지 금리와 더불어 거래에…

0 Comments
미국 집값 11년래 최대폭 하락…중간가 38만8800달러
New Jersey Realtor Richard Choi

“미 정부 채무불이행 사태시 모기지 금리 8% 돌파”

미 정부 채무 불이행시 모기지 금리 미 연방정부가 채무 불이행(디폴트)사태에 처할 경우 미국 모기지 금리가 8%를 돌파할 것으로 예상됐다. 미 부동산 포털 질로우의 제프 터커 질로우 수석 전략가는 최근 “만약 미국의 부채한도 협상이 결렬될 경우 모기지 금리(30년 고정 기준)이 8.4%까지 치솟을 것”이라며 “금리가 오르면 월 페이먼트 부담도 지금보다 22%나 늘어날 수 있다”고 내다봤다. 실례로 현재 금리 수준인 6.3%를 기준으로 50만달러를 대출할 경우 월 페이먼트는 3095달러가 되지만 금리가 8.4%까지 오르면 월 상환액도 3800달러까지 늘어나게 된다. 부동산 경제학자들도 “미국의 디폴트는 곧 부동산 시장의 냉각을 의미하며 이 경우 기존주택 소유주보다는 생애 첫 주택 구매자를 포함한 잠재적인 미래 주택 바이어와 신규 주택 판매에 더 큰 피해를 주게 될 것”이라고 전망했다. 한편 지난해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(Fed·연준)의 공격적인 금리인상 여파로 급등하기 시작한 모기지 금리는 2022년 10월 한 때 7%를 돌파하며 지난 20년래 최고치를 기록한 이후 점차 하락해 현재는 6% 초중반 수준을 오가고 있다

0 Comments