트럼프 정부출범 이후 2025년 전문 기관들의 분석
트럼프 정부 출범 이후 2025년 미국 부동산 시장에 대한 주요 전문 기관들의 전망을 정리해 드리겠습니다.
주요 기관별 부동산 시장 전망
전미부동산중개인협회(NAR)
- 주택 가격: 전년 대비 2%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, 평균 주택 가격은 41만 700달러에 이를 것으로 보입니다.
- 2026년 전망: 추가적으로 2% 상승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모기지 금리: 6%대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측됩니다.
- 특징: “집값 폭락은 없을 것이며, 6%대 금리가 새로운 표준이 될 것”이라고 전망하였습니다.
레드핀(Redfin)
- 주택 가격: 4% 상승할 것으로 예상되며, 이는 전문 기관 중 가장 높은 상승률 예측입니다.
- 재고 부족으로 인해 가격 상승이 지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
- 렌트 시장: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많은 이들이 세입자로 남을 가능성이 큽니다.
- 렌트 가격: 완만하거나 하락할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모기지 금리: 최대 7%까지 유지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특징: 신규 임대주택 공급이 증가함에 따라 렌트비 인하 및 다양한 프로모션이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.
질로(Zillow)
- 주택 가격: 2.6% 상승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
- 모기지 금리: 6.5%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특징: 중서부, 남북부, 남서부 지역이 구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이 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모기지은행협회(MBA)
- 주택 가격: 1.5% 상승할 것으로 예측되며, 이는 가장 보수적인 전망입니다.
- 모기지 금리: 6.4~6.6% 수준에서 유지될 것으로 보입니다.
- 특징: 높은 금리로 인해 주택 가격 상승이 둔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종합 분석
전문가들의 의견을 종합하면, 2025년 미국 부동산 시장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보일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주택 가격: 집값이 급락하기보다는 ‘상승 둔화’ 현상이 나타날 것이며, 대체로 2~4% 사이의 상승률이 예상됩니다.
- 모기지 금리: 대부분의 기관이 6%대 유지를 전망하며, 팬데믹 시기의 초저금리(2~3%)는 더 이상 기대하기 어려울 것으로 보입니다.
시장 특성
- 높은 주택 가격으로 인해 렌트 시장이 활성화될 가능성이 높습니다.
- 신규 임대주택이 증가함에 따라 렌트 시장에서 세입자에게 유리한 환경이 조성될 것으로 예상됩니다.
- 지역에 따라 구매자에게 유리한 시장이 형성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우려 요인
- 최근 다시 고개를 들고 있는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모기지 금리의 하락이 제한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
- 트럼프 행정부의 **정책 방향(세금 감면, 관세 등)**이 인플레이션과 국가 적자에 미치는 영향에 따라 부동산 시장의 흐름이 영향을 받을 수 있으므로 정책 변화에 주목할 필요가 있습니다.